소비자 분석 Prop-Tech 솔루션 '마이비즈맵'
😎

Free Board

Total 1015 posts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와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와 주요 목표는 투기 차단과 실수요 보호를 병행하는 이중 트랙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재의 대출 규제가 "맛보기에 불과하다"고 언급하며, 향후 강도 높은 추가 부동산 대책을 예고했습니다.주요 정책 기조와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공급 확대:신규 신도시 추가 개발 가능성을 사실상 차단하고, '목 마르다고 소금물을 계속 마실 수는 없다'는 비유를 통해 그린벨트 해제 방식에 선을 그었습니다.대신, 도심 내 고밀·고효율 개발 전략을 고수하며 기존 택지와 유휴 부지를 재활용한 고밀 개발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특히 서울 서리풀지구, 창동역세권, 가재울 등 핵심 도심지의 용적률 상향 및 정비사업 규제 완화가 거론되고 있습니다.3기 신도시 후속 구역(의왕·군포·안산)의 고밀화 개발 전환도 예상됩니다.LH·SH 등 공공이 주도하는 도심 내 복합개발, 역세권 고밀화, 준공업지역 재편 등의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이며, 공공 중심의 고속 공급체계가 핵심 수단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1기 신도시 재정비 로드맵도 이르면 하반기 발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수요 억제:대출 규제 확대 및 다주택 수요 차단이 예상됩니다.향후 LTV(주택담보대출비율) 비율 추가 축소,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강화, 다주택자 금융 규제 강화 등이 연속적으로 발표될 수 있습니다.규제 범위가 전세대출, 중도금대출까지 넓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세제 정상화 및 실수요자 보호 강화:다주택자에 대한 세 부담 기조는 유지하되, 실수요자를 위한 양도세·종부세 일부 완화 조치가 선별적으로 검토될 수 있습니다.생애최초 주택 구매자, 신혼부부 등 실수요 계층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이재명 정부는 현재의 속도감으로 볼 때 이르면 7월 중 추가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 추가 대책에는 공급 물량 확대와 함께 수요 관리 조치가 동시에 담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는 서울 강남권과 한강변을 중심으로 시작된 집값 상승세가 외곽으로 확산되는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강력한 신호로 해석됩니다. feat. ai 개발개발개발완화완화완화 ㅎ
AI 가 요즘 핫하네요 매우..
에이전트 간 통신을 위한 새로운 오픈소스 프로토콜인 ACP(Agent Communication Protocol)가 등장했습니다.ACP는 CrewAI, LangChain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 기반 에이전트들이 서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REST 기반이라 기존 시스템에 쉽게 통합할 수 있고, MCP처럼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받아 에이전트에게 전달하는 구조입니다.기존의 A2A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ACP는 로컬 환경 중심, 저지연, 팀 내부 운영에 적합한 반면, A2A는 클라우드 기반 협업에 더 적합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DeeplearningAI에서는 CrewAI, Smolagents 등으로 ACP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방법을 다룬 강의도 제공하고 있습니다.GitHub - i-am-bee/acp: Open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AI agents, applications, and humans.네,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Agent Communication Protocol (ACP)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Agent Communication Protocol (ACP)는 쉽게 말해 서로 다른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사람들이 서로 대화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개적인 약속 또는 규칙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왜 이런 것이 필요할까요? 요즘 인공지능 에이전트들은 제각각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마치 서로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모인 것처럼 소통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인공지능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거나 함께 작업을 하는 것이 쉽지 않았죠. ACP는 이런 파편화를 해결하여 인공지능들이 더 효과적으로 함께 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ACP가 어떤 일을 가능하게 할까요? ACP 덕분에 인공지능 에이전트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할 수 있게 됩니다: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주고받기: 단순히 글자뿐만 아니라 코드, 파일, 이미지, 비디오 같은 다양한 형식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실시간 또는 배경에서 응답: 필요한 경우 즉시 응답하거나, 시간이 걸리는 작업은 백그라운드에서 처리하고 나중에 결과를 알려줄 수 있습니다.다른 에이전트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림: 각 에이전트가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서로 알아보고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오래 걸리는 작업 함께 수행: 혼자서는 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작업을 여러 에이전트가 협력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필요할 때 상태 공유: 서로의 현재 상황이나 진행 상태를 공유하여 더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습니다.핵심 개념들을 간단히 살펴볼게요:에이전트 매니페스트 (Agent Manifest): 각 에이전트가 어떤 이름이고,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등을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마치 자기소개서와 같아서 다른 에이전트들이 이 에이전트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쉽게 알 수 있게 해줍니다.메시지 (Message): 에이전트 간의 소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 덩어리입니다. 여러 개의 메시지 부분(MessagePart)이 모여 하나의 완전한 메시지를 이룹니다.메시지 부분 (MessagePart): 메시지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내용 단위입니다. 텍스트, 이미지, JSON(데이터 형식)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라는 텍스트와 함께 이미지를 보낸다면, 텍스트가 한 개의 메시지 부분, 이미지가 또 다른 메시지 부분이 되는 식입니다.세션 (Sessions): 에이전트가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입니다. 마치 여러 번의 대화가 하나의 묶음으로 연결되어, 에이전트가 과거의 맥락을 잊지 않고 이어갈 수 있게 합니다.어웨이트 (Await): 에이전트가 외부의 입력(데이터, 사용자의 행동 등)을 기다렸다가 다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멈추는 기능입니다. 사용자에게 질문하고 답변을 기다리는 것과 유사합니다.런 (Run): 특정 입력에 대한 에이전트의 한 번의 실행 과정을 의미합니다. 동기식(바로 응답) 또는 스트리밍(부분적으로 계속 응답) 방식으로 중간 결과나 최종 결과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어디서 만들어졌을까요? ACP는 BeeAI 프로젝트의 기여자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리눅스 재단 AI & 데이터 프로그램의 일부입니다. 이는 개방적이고 협력적이며 커뮤니티 주도적인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활용 및 도구: ACP는 BeeAI 플랫폼에서 에이전트 간의 통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에이전트를 찾고 실행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들이 ACP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문서, OpenAPI 사양(규칙 설명), 파이썬 및 타입스크립트 개발 도구(SDK), 그리고 예제 코드 등이 제공됩니다.요약하자면, ACP는 다양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주고받으며 함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국제적인 소통 규칙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미국 SNS 의무공개?
이전에 봤을 때 그냥 이슈 정도 인가.. 했는데 의무화가 됐나보네요? 향후 비자 신청 자격에도 영향을 주는 ..미국 정부 “SNS 의무 공개”… 비자 신청 유학생들 걱정 태산|주간동아
지하도로 생기면
강남까지 10분이면 간다…벌써부터 떠들썩한 동네 | 한국경제강남에 차가 더몰리겠네요...
날씨가..
많이 더워졌네요더운 와중에 여름감기 조심하세요 ~~~
대출규제 강화되었네요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627_0003230148집 매매하려고 열심히 돈 모으는 중인데 대출규제가 다시 심해지네요 ㅜ집 언제사냐....
최신 동향을 AI에게
ai를 활용해서 부동산 전망을 보고있는데 대단하네요 +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주제에 대한 관련 키워드를 새로 추출 하네요.+버튼이 없어질때까지 눌러볼까...
중국 임대주택 혁신의 선구자 '쯔루(自如)'
중국 임대주택 혁신의 선구자 '쯔루(自如)''집주인도 세입자도 만족'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 비결중국 최대 임대주택 플랫폼 쯔루의 혁신적 서비스https://blog.naver.com/chlsdud16/222498655825중국 베이징의 한 젊은 직장인 김씨(가명)는 "쯔루(自如, Ziroom)가 없었다면 이렇게 깔끔하고 안전한 집에서 살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가 거주하는 쉐어하우스는 모던한 인테리어와 스마트홈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고장 시 24시간 내 수리 서비스까지 제공받는다. 이것이 바로 중국 임대주택 시장을 혁신한 쯔루(自如, Ziroom) 이다.2011년 설립된 쯔루는 중국 최대 부동산 중개업체 리엔지아(链家)에서 분사한 임대주택 전문 플랫폼으로, 현재 120만 명 이상의 세입자에게 50만 채 이상의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있다.[Wharton Business School 분석 자료]https://knowledge.wharton.upenn.edu/article/ziroom-winning-chinas-housing-rental-services-market/에 따르면, 쯔루는 2018년 기준 3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며 중국 최초의 임대주택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했다.한국과 다른 중국식 임대주택 혁신의 핵심1. 자산 없는 플랫폼의 성공 전략쯔루의 가장 큰 특징은 '자산 비보유형(Asset-light)' 비즈니스 모델이다. 직접 부동산을 소유하지 않고, 집주인으로부터 장기 임차한 후 표준화된 인테리어로 리노베이션하여 세입자에게 프리미엄을 붙여 재임대하는 구조다.한국의 임대주택 시장과 비교해보면, 국내는 여전히 개별 집주인과 세입자 간의 직접 거래나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한 전통적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반면 쯔루는 플랫폼이 중간에서 품질 관리와 서비스 표준화를 담당하며 임대차 양측 모두에게 가치를 제공한다."쯔루에서 관리하는 모든 시설은 표준화된 품질을 보장받습니다. 전구 하나가 나가도 앱으로 신고하면 당일 수리해줍니다." [실제 거주자 후기](https://blog.naver.com/chlsdud16/22249865582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입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다.2.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커뮤니티 중심 서비스쯔루는 단순한 임대업체를 넘어 '시로머(Ziroomer)'라는 회원 커뮤니티를 구축했다. 세입자들은 모바일 앱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예약하고, 다른 거주자들과 소통하며, 파트너사 할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특히 주목할 점은 룸메이트 정보 투명화 시스템이다. 쯔루 앱에서는 같은 집에 사는 룸메이트의 성별, 거주 기간, 직업, 심지어 별자리까지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의 쉐어하우스나 고시텔 시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혁신적 서비스다.3. 데이터 기반 운영과 수직계열화 전략쯔루는 모기업 리엔지아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수요 예측과 입지 선정을 최적화한다. 또한 초기에는 이케아 가구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자체 가구 제조까지 하며 원가 절감과 브랜드 차별화를 동시에 달성했다.이러한 수직계열화 전략은 한국 스타트업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단순한 플랫폼 중개를 넘어 밸류체인 전반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수익성과 품질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중국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기회임대 시장 급성장의 배경중국 대도시의 주택 가격은 평균 소득 대비 구매 부담이 180%에 달하는 반면, 임대료는 소득의 58% 수준이다. [Wharton 분석](https://knowledge.wharton.upenn.edu/wp-content/uploads/2018-05-22-Ziroom-E-house-English.pdf)에 따르면, 이러한 가격 격차가 밀레니얼 세대의 임대 선호 현상을 가속화하고 있다.쯔루의 슝린(熊林) CEO는 최근 [신화통신 인터뷰](http://kr.news.cn/2021-10/23/c_1310263650.htm)에서 "집 품질, 생활 서비스, 첨단 기술에 대한 도시 임차인의 기준이 높아졌다"며 "고품질·다양성·스마트함을 갖춘 주거 상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정부 정책의 뒷받침중국 정부는 임대주택 시장 활성화를 위해 '금융지원 17조'를 발표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는 부동산 가격 안정화와 젊은 세대의 주거 안정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한국 시장에 주는 시사점과 적용 가능성1. 전월세 전환기의 새로운 대안한국은 현재 전세에서 월세로의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2024년 기준 월세 비중이 50%를 넘어서면서, 쯔루와 같은 품질 보장형 임대 플랫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특히 서울 강남 지역의 경우 전세 대신 월세를 선택하는 2030 세대가 늘어나면서, 단순한 중개를 넘어 생활 서비스와 커뮤니티를 결합한 새로운 주거 솔루션(코리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2. 1인 가구 증가와 쉐어하우스 시장 확대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1인 가구 비율은 2023년 기준 34.5%에 달한다. 이들 대부분이 2030 세대로, 쯔루의 주요 타겟층과 일치한다.현재 한국의 쉐어하우스 시장은 대부분 영세업체들이 운영하고 있어 품질 관리와 안전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쯔루 모델을 벤치마킹한 표준화된 쉐어하우스 플랫폼이 등장한다면 상당한 시장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3. 스마트홈과 디지털 서비스의 융합쯔루가 최근 출시한 5대 스마트홈 솔루션(조명, 주변 환경, 보안, 음악·영상, 컨트롤러)은 한국의 높은 IT 인프라와 결합하면 더욱 혁신적인 서비스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특히 한국의 강점인 IoT 기술과 5G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중국보다 더 앞선 스마트 리빙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과제와 한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이유1. 높은 초기 투자와 수익성 확보의 어려움쯔루 모델의 가장 큰 과제는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이다. 대량의 임대주택을 확보하고 리노베이션하려면 상당한 자금이 필요하며, 수익성 확보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한국의 높은 부동산 가격과 금리 환경을 고려하면, 중국보다 더 큰 자본 부담이 예상된다. 따라서 단계적 확장과 신중한 자금 조달 전략이 필수적이다.2. 규제 환경의 차이중국과 달리 한국은 임대차보호법, 전월세상한제 등 세입자 보호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쯔루와 같은 중간 임대업체의 수익 모델에 제약이 될 수 있다.또한 집단거주시설 관련 규제, 건축법상 용도 변경 제한 등도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있다.결론: 한국형 혁신 모델의 필요성쯔루의 성공은 중국의 특수한 시장 환경과 정부 정책이 뒷받침된 결과다. 그러나 그들의 '품질 표준화', '커뮤니티 중심 서비스', '데이터 기반 운영'**이라는 핵심 전략은 한국 시장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특히 전월세 전환기와 1인 가구 증가라는 구조적 변화 속에서, 단순한 중개를 넘어 종합적인 주거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의 등장은 시대적 필연이라 할 수 있다.다만 한국 고유의 시장 환경과 규제를 고려한 한국형 혁신 모델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쯔루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되, 한국 소비자의 니즈와 시장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이 성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참고자료:- [Wharton Business School: Ziroom Market Analysis](https://knowledge.wharton.upenn.edu/article/ziroom-winning-chinas-housing-rental-services-market/)- [중국 쉐어하우스 실제 거주 후기](https://blog.naver.com/chlsdud16/222498655825)- [쯔루 앱 이용 가이드](https://blog.naver.com/myangoo/221325686503)- [신화통신: 중국 장기임대주택 트렌드](http://kr.news.cn/2021-10/23/c_1310263650.htm)
요새 국내장이 좋은가요?
카카오가 갑자기 오르네요 ㅋㅋ 저는 테슬라 주주라 로보택시땜에 올라서 좋습니다~
이란 이스라엘 전쟁
아침에 휴전 기사를 봤는데 아직 제대로 끝난게 아닌건지.. 트럼프 대통령이 또 말장난을 한것인지..이·이 충돌 일단락…이란 "이스라엘, 공격 멈추면 대응 안 해"예측할수없는 시대네요 ㅎ